17일 새만금~전주고속도로(사진)에
- 작성자 …
- 작성일 25.11.18 01:48
첨부파일
외부링크
부재중자동문자
17일 새만금~전주고속도로(사진)에 들어서자 김제평야를 가로지르며 뻗어 나간 도로 너머로 하늘과 땅이 맞닿은 듯한 지평선이 펼쳐졌다. 11월 21일 개통을 앞두고 있어 아직 적막했지만, 15년 기다림의 끝은 가을바람을 타고 성큼 다가와 있었다.새만금~전주 고속도로는 총연장 55.1㎞로 완주에서 새만금신항을 잇는다. 2010년 첫 삽을 뜬 뒤 15년 만에 완성되는 ‘새만금의 첫 대동맥’이다. 4개 분기점(JCT)과 3개 나들목(IC)을 통해 서해안·호남 고속도로와 익산~장수선, 순천~완주선 등 국가 간선망과 바로 연결된다. 완주~새만금 주행시간은 기존 76분에서 33분으로 줄어든다. 동서를 연결하고 전북의 시·공간 구조를 재편하는 전략 기반 시설로 평가된다.현장은 분주했다. 북김제IC에서는 하이패스 단말기 최종 점검이 한창이었고, 방음벽 설치와 보호난간 용접 작업이 이어졌다. 운행 중에 들른 김제휴게소는 기존 휴게소와 달리 주차장과 휴게동을 높낮이 없이 연결한 ‘평면형 구조’를 적용해 접근성을 극대화했다. 철제 안전봉을 설치해 보행자 안전에도 신경을 썼다. 도로 설계 철학인 연결성이 구현된 공간이었다.휴게소를 나와 김제평야를 가로질러 새만금 방조제로 이어지는 구간에서는 개통 효과를 직접 체감할 수 있었다. 아직 공사 중이라 새만금IC까지 30분가량 걸렸지만, 개통 후에는 15분이면 도착한다. 멀게만 느껴졌던 새만금이 ‘생활권 거리’로 들어오는 셈이다. 새만금IC는 도로의 종점이자 더 큰 구상의 출발점이다. 종점에서 바라본 방조제는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길었다.특히 이번 개통은 영호남 동서 교통망 구축의 첫 단계를 의미한다. 새만금~전주 고속도로는 장기적으로 포항까지 이어지는 ‘새만금~포항선’의 시발점이기도 하다. 신항만·신공항·인입철도와 연결되면 전북은 교통·물류의 허브로 도약할 기반을 갖추게 된다.도로 개통은 새만금 개발의 3대 축과도 맞물린다. 2026년 하반기에는 1조2000억원이 투입된 새만금 신항 1-1단계 공사가 마무리돼 5만t급 선박이 드나드는 ‘전북형 메가포트’ 시대가 열린다. 2027년에는 국내 최초 간척지 수목원인 국립새만금수목원이 완공돼 관광 수요도 증가할 전망이다.전북도 관계자는 “새만금 고속도로는 내륙, 더 나아가 영호남을 하나로 묶는 상징”이라며 “물류뿐 아니라 관광, 산업 입주, 정주까지 이어지는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김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이하 광주인권위)가 2022년 이후 3년 만에 개최되는 광주퀴어문화축제를 공동주관한다. 퀴어문화축제에 대한 지자체와 일부 보수단체들의 반발이 점점 심해지는 가운데, 올해 열리는 퀴어문화축제를 공동주관하는 지역은 광주가 처음이다.17일 <프레시안> 취재를 종합하면, 광주인권위는 오는 29일 금남로 일대에서 열리는 광주퀴어문화축제의 공동주관 단위에 이름을 올렸다.이번 축제에는 진보당·기본소득당·정의당 등 5개 정당을 비롯해 시민사회단체 30여 곳이 연대 단체로 참여한다. 국가기관 중에서는 광주인권위가 유일하다. ▲17일 <프레시안> 취재를 종합하면, 광주인권위는 오는 29일 금남로 일대에서 열리는 광주퀴어문화축제의 공동주관 단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축제에는 진보당·기본소득당·정의당 등 5개 정당을 비롯해 시민사회단체 30여 곳이 연대 단체로 참여하는데, 국가기관 중에서는 광주인권위가 유일하다. ⓒ광주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 올해 열린 퀴어문화축제 중 인권위가 공동주관으로 참여하는 사례는 광주인권위가 처음이다. 앞서 지난 4월 안창호 인권위원장은 2017년 인권위가 서울퀴어문화축제에 참여하기 시작한 이래로 9년 만에 처음으로 불참을 선언했다. 같은 달 대전에서 열린 제2회 대전퀴어문화축제, 9월 대구에서 열린 제17회 대구퀴어문화축제에는 각각 대전·대구인권사무소가 부스를 차렸으나 주관·주최단위에는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 이번 공동주관은 광주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가 원활한 행사 진행을 위해 광주인권위에 협조를 요청하는 과정에서 결정됐다.광주인권위 관계자는 <프레시안>과의 통화에서 "퀴어 행사의 경우 혐오세력에 의해 여러 가지 우려되는 상황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광주인권위가 공동주관으로 참여하면 안전에 도움이 되겠다고 판단했다"며 "또 거리 행진을 위해 지자체에 도로 점용 허가를 받는 과정에서 국가기관 또는 공공기관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해 함께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이 관계자는 또한 "광주인권위는 전에 열린 광주퀴어문화축제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해 왔다. 참여하던 축제에 참여하지 않는다면 그것이야말로 이상한 것"이라며 "공동주관은 서울과 달리 단체들과의 상시적 소통과 협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덧붙였다. ▲2019년 광주퀴어문화축제 당시 지역언론 <전남일보>가 성소수
부재중자동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