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최근 우크라이나 에
- 작성자 …
- 작성일 25.11.18 15:53
첨부파일
외부링크
통화후자동문자
[앵커]최근 우크라이나 에너지 시설을 집중 공격해온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항구에 정박한 튀르키예의 가스 운반선을 타격했습니다.국경 근처라 인근 루마니아 주민들도 대피했는데요.러시아의 공격이 주변국까지 위협하는 상황이 벌어지자 유럽의 경계심도 커지고 있습니다.베를린 송영석 특파원입니다.[리포트]선박에서 거대한 불기둥이 솟구칩니다.현지 시각 17일, 우크라이나 남부 오데사주 항구에 정박해 있던 튀르키예의 액화석유가스 운반선 오린다호가 러시아 드론 공격을 받았습니다.오린다호엔 승조원 16명이 타고 있었는데, 항구를 겨냥한 공습에 미리 대피하고 있던 터라 인명 피해는 없었습니다.하지만, 4천 톤의 액화가스를 실은 오린다호가 언제든 폭발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면서, 국경 너머 루마니아 주민들에까지 대피령이 내려졌습니다.[투도르 체르네가/루마니아 국경 마을 시장 : "마을로의 접근을 제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만약 (선박이) 폭발할 경우를 대비해 최소 5km의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테러 확대가 이웃 국가들까지 위협하고 있다고 맹비난했습니다.그러면서 이번 공격은 러시아를 향한 집단적 압박이 시급하다는 걸 보여준다고 강조했습니다.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 회원국인 루마니아는 지난주 러시아 드론이 자국 영토에 추락했을 가능성을 제기했고, 두 달 전에도 러시아 드론의 영공 침범을 주장한 바 있습니다.러시아는 오린다호 공습에 대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대신, '러시아가 이르면 2028년이나 2029년 나토 회원국을 공격할 수 있다'는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독일 국방 장관의 주장을 적극 반박했습니다.[드미트리 페스코프/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 : "유럽 국가들로부터 군국주의적이고 군사적인 수사가 점점 더 많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러시아가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강요하고 있습니다."]이런 가운데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앞으로 10년간 라팔 전투기 백 대를 공급하고, 현재 개발 중인 대공 방어 시스템 'SAMP-T' 배치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베를린에서 KBS 뉴스 송영석입니다. 영상편집:한미희/화#정부가 오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최대 61% 감축하는 내용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에 나서면서 석탄화력발전을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에너지전환' 논의에 다시 불이 붙고 있다. 내년 2월 발표될 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이 같은 정부 기조가 반영되면 석탄화력발전 폐지 시기가 실제로 앞당겨질 수 있다.석탄화력발전을 운영하는 발전공기업과 협력업체, 발전소를 낀 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은 정책 흐름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다. 특히 발전소 협력업체와 발전소 폐지로 지역 경제가 후퇴할까 경계하는 지자체, 발전소 지역 주민 입장에서는 전환 시계가 빨라질수록 위기감이 드는 것은 사실이다.제10·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오는 2036년까지 61기 석탄화력발전기 중 28기가 폐지되고 2038년까지 12기가 추가로 폐지된다. 당장 다음 달 한국서부발전의 태안화력발전 1호기 폐지를 시작으로 내년 한국중부발전 보령 5호기, 한국남부발전 하동 1호기, 2027년 서부발전 태안 2호기, 중부발전 보령 6호기 등이 문을 닫는다. 한국서부발전은 18일 충남 태안 본사에서 본사 태안 이전 10주년 기념식을 진행했다. 이정복 서부발전 사장(오른쪽 여덟 번째)과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했다. ◇소외 없는 에너지전환 추진하는 서부발전이 가운데 가장 먼저 폐지에 들어가는 곳은 서부발전의 태안화력발전 1호기다. 태안화력발전 1호기는 산업화가 한창인 1980년대 중반 당시 향후의 폭발적 전력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건설된 500㎿급 발전기다. 1992년 3월 2호기(500㎿)와 함께 공사에 들어가 1995년 12월 준공됐다. 1호기와 2호기는 역할을 마치고 각각 올해 말, 2027년 4월 폐지된다.서부발전은 순차적으로 이뤄질 발전소 폐지 과정에서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고용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태안군, 협력업체와 손을 잡았다. 서부발전은 체계적이고 질서 있는 에너지전환을 위해 지난해 말 발전공기업 최초로 '에너지전환지원단'을 구성한 뒤 정부와 지자체, 기후에너지환경부, 고용노동부 등과
통화후자동문자